top of page

JEONG Haemin

BHAKsg.jpg

JEONG Haemin 정해민

I weave screens with the hope that they might embody a certain kind of reality. I aim to capture a semblance of digital plausibility. Units of immaterial images are treated as though they possess substance, polished, fragmented, and reassembled.
-Jeoung Haemin-

These units are often summoned from earlier works, where the sensations and logic at the time of their creation are translated into the present. In this process, reverence toward previous images may emerge, or at times a form of violence is enacted upon them. What I expect from this cycle is a sense of vitality—one that, at a certain point, becomes preserved, almost taxidermized, while still carrying that vitality within. Thereafter, the image becomes a source once again. It is re-summoned on the same screen with a temporal gap to reveal another layer of truth, or it lies in wait to be recalled onto a different screen.

Gradually, these sources acquire a framework shaped by computer specifications. The resolution of an image depends on how generously virtual brushstrokes can be computed and processed. When I choose low-resolution photos from the web or daily life as the source prior to the source, I regard their rawness as essential. These two factors give rise to relatively small units.

In this body of work, I sought to heighten the resolution of the units, unraveling them across finely woven fabric in larger scales.

By summoning these units in multiples across the canvas, a kind of narrative unfolds. The introduction of narrative has long stood in tension with my pursuit of pictorial reality, leading me until recently to exclude it. Yet I have since shifted toward reintroducing narrative. This stems partly from the inherent flatness of the medium of print, which makes such an approach more suitable, and partly from my experience that inserting and simultaneously destabilizing narrative may, paradoxically, heighten the veracity of the image.

Jeong Hae-min (b.1982) received his BFA in Printmaking from Hongik University in 2009 and earned his MFA in Fine Arts from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His first solo exhibition Could not complete your request was held at OCI Museum of Art in 2017, followed by solo shows at Pyo Gallery, Osisun, Bupyeong Art Center, Exhibition Space, and Gallery 175. 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at institutions including the Seoul Arts Center, Gyeomjae Jeongseon Art Museum,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Pyo Gallery, Space SO, and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Hong Kong. Jeong was awarded the Excellence Prize at the 1s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Portfolio Fair (2015), selected as an OCI Young Creative (2017), received the Bupyeong Young Artist Grand Prize (2018), the Gyeomjae Jeongseon Tomorrow’s Artist Award of Excellence (2018), and the Grand Prize at the 5th Digital Art Portfolio Fair (2021). Since 2019, he has been teaching painting and sculpture at Gachon University.


화면을 직조해 나가면서 이것이 일종의 리얼리티를 지니기를 바란다. 디지털로서의 그럴듯함을 그려보고 싶다. 물성 없는 이미지의 단위를 마치 실체처럼 인식하고 그것을 다듬고 쪼개고 다시 이어붙인다.

​이미지의 단위들은 보통 이전 작업에서 소환되는데 이 단위들이 제작될 당시의 감각과 논리를 현재의 그것으로 번역한다. 이때 이전의 이미지에 대한 존경이 드러나거나 폭력이 가해지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일종의 생동감이 드러나기를 기대하며 어떤 한 지점에서 그 생동감을 간직한 체 박제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후 이 이미지는 다시 소스가 된다. 같은 화면에 시차를 가지고 다시 소환되어 그 시점에서의 사실성을 드러내기 위한 작업이 이뤄지거나 다른 화면에서 또 소환되기를 기다리게 된다.

이 소스들은 서서히 어떤 틀을 지니게 되었는데 이는 컴퓨터 스펙에 연관되어있다. 가상의 붓질을 얼마나 여유 있게 연산·처리할 수 있는가에 따라 이미지의 해상도가 결정된다. 또한 소스 이전의 소스, 즉 웹이나 일상의 저용량 사진들을 선택할 때 나는 그 저용량을 날것으로 인식하는 것 같다. 이 두 가지 때문에 비교적 작은 단위, 유닛이 생성된다.

이번에는 유닛의 해상도를 높이고 올이 촘촘한 천에 커진 유닛을 풀어놓고자 하였다.

이 유닛들을 복수로 화면에 소환하면서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이야기를 도입하는 것은 회화의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것과 대립하는 것이어서 최근까지 그것을 배제하는 쪽으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이야기를 다시 도입하는 쪽으로 전환하였다. 이는 출력이라는 특성상 이쪽이 더 적절하다는 생각(한없이 평면에 가까운 물성)과 이야기를 도입하면서 동시에 흐트러트리는 것이 이미지의 사실성을 드러낼지도 모른다는 어느 정도의 경험에 토대를 둔다.

정해민(b.1982)은 2009년 홍익대학교 판화과를 졸업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조형예술과 전문사를 취득했다. 2017년 OCI미술관에서 열린 첫 개인전 <Could not complete your request>와 더불어 표갤러리, 오시선, 부평아트센터, 전시공간, 갤러리 175에서 여러 개인전을 가졌다. 또한 예술의전당, 겸재정선미술관, 서울예술재단, 표갤러리, 스페이스 소, 홍콩한국문화원 등 다양한 국내외 단체전에도 참여했다. 2015년 제 1회 서울예술재단의 포트폴리오박람회에서 우수상, 2017년 OCI YOUNG CREATIVES 선정, 2018년 부평 영아티스트 대상, 겸재정선 내일의 작가 우수상을 그리고 2021년 제 5회 디지털아트 포트폴리오박람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그는 2019년부터 현재까지 가천대학교에서 회화 및 조소를 가르치고 있다.

SELECTED WORKS

EXHIBITIONS

VIDEOS

NEWS & PUBLICATIONS

Sign up to our newsletter

PYO GALLERY

03040, 18-4, Jahamun-ro 5-gil, Jongno-gu, Seoul, Republic of Korea

645 W 9th St unit 110-244, Los Angeles, CA 90015, US

© 1981-2025 PYO GALLERY. All Rights Reserved.

  • Instagram
  • Facebook
  • YouTube
bottom of page